반응형 인권2 남자도 여자도 아니다, 논바이너리(Non-binary)란 무엇일까? (쉽게 설명)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세상에는 남자와 여자, 두 가지 성별만 있다고 배워왔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첫 숫자도 1과 2, 혹은 3과 4로 나뉘죠. 이렇게 ‘남성’ 아니면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만 있는 세상을 우리는 당연하게 여겨왔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 두 가지 상자 어디에도 속하고 싶지 않거나, 자신이 속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논바이너리(Non-binary)’는 이 ‘남성 혹은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선택지 자체를 벗어난, 아주 다양하고 넓은 스펙트럼의 성별 정체성을 의미합니다. ‘바이너리(binary)’가 ‘이진법의, 두 개로 이루어진’이라는 뜻이니, 논바이너리는 ‘이분법을 따르지 않는다’는 뜻이죠. ‘젠더퀴어(Genderqueer)’라고도 .. 2025. 10. 15. 구속적부심의 의미와 절차, 구속된 피의자를 위한 법적 제도 뉴스나 드라마에서 "구속적부심을 신청했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름부터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져, 그저 범죄와 관련된 복잡한 법률 용어려니 하고 무심코 지나치기 쉽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구속적부심은 결코 범죄자를 위한 특별한 혜택이 아닙니다. 바로 재판이 시작되기도 전에 자유를 빼앗긴 사람이, "제가 정말 구치소에 갇혀있어야만 하나요?" 라고 법원에 다시 한번 물어볼 수 있는 아주 중요하고 기본적인 '인권 보호 장치'입니다.이 글은 어려운 법률 용어는 잠시 내려놓고, 우리 헌법이 보장하는 이 중요한 제도가 왜 필요하며,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장 쉽게 설명해 드리는 친절한 법률 상식 안내서입니다. '유죄'가 아닌데 왜 갇혀있을까? 이야기를 쉽게 이.. 2025. 10.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