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

by 일금이 2025. 10. 5.
반응형

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

 

세종대왕 하면 우리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훈민정음', 즉 한글 창제일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세종대왕의 업적이 오직 한글 창제 하나뿐이었다면, 과연 오늘날까지 '대왕'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존경받을 수 있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글 창제는 세종이라는 거대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그는 과학, 국방, 예술, 복지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른 천재적인 '올라운더 군주'였습니다.

이 글은 교과서에는 자세히 나오지 않았던, 하지만 오늘날 우리의 삶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종대왕의 놀라운 업적들을 소개해 드리는 흥미로운 역사 탐험서입니다.

 

하늘의 시간을 백성에게

하늘의 시간을 백성에게하늘의 시간을 백성에게

 

지금이야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시간을 확인하지만, 조선시대에 시간은 왕과 일부 양반들만의 것이었습니다. 세종대왕은 이 시간을 모든 백성과 나누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해시계 '앙부일구'입니다. 단순히 궁궐에만 설치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오가는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하여 누구나 쉽게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한 '세계 최초의 공중 시계'였습니다.

또한, 농사에 가장 중요한 '강수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측우기인 '측우기'를 발명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비가 얼마나 왔는지 재는 도구를 넘어, 각 지역의 강수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다음 해 농사를 예측하고 세금을 합리적으로 걷는 데 활용한 혁신적인 데이터 과학이었습니다. 자동 시보 장치가 달린 물시계 '자격루' 역시 그의 과학 사랑을 보여주는 위대한 발명품입니다.

 

우리 땅을 지켜낸 강력한 힘

우리 땅을 지켜낸 강력한 힘우리 땅을 지켜낸 강력한 힘

 

세종대왕은 단순히 학문을 사랑한 학자 군주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우리 영토를 지키는 일에도 아주 단호하고 강력했습니다. 당시 북방의 여진족이 수시로 국경을 넘어와 백성들을 괴롭히자, 김종서 장군 등을 보내 4군 6진을 개척하여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의 국경선을 확립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최무선의 아들 최해산 등을 등용하여 화포 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고, 한 번에 여러 발의 화살을 쏠 수 있는 '화차'를 개발하는 등 국방 과학 기술 강화에도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기 위해서는 튼튼한 국방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백성의 건강과 마음을 보살피다

백성의 건강과 마음을 보살피다백성의 건강과 마음을 보살피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은 백성들의 건강을 살피는 데서도 빛을 발했습니다. 당시 의학은 구하기 힘든 중국 약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 백성들에게는 그림의 떡과 같았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세종은 우리 땅에서 나는 약초로 우리 몸에 맞게 치료할 수 있도록, 향토 약재와 치료법을 집대성한 의학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세종은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직접 음을 만들고,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인 '정간보'를 창안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음악을 즐기는 것을 넘어, 궁중 음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키고자 했던 그의 문화적 혜안을 보여줍니다. 과학부터 예술까지,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모든 것에 진심이었던 왕이었습니다.

 

농부의 마음을 헤아린 세금 개혁

농부의 마음을 헤아린 세금 개혁농부의 마음을 헤아린 세금 개혁

 

"왕이 직접 농사를 지어보지 않고서 어찌 농부의 어려움을 알겠는가?" 세종대왕은 항상 백성의 입장에서 생각했습니다. 당시 농업 기술은 중국의 것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경우가 많아 우리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각 지역의 농부들에게 직접 경험담을 물어, 우리나라 풍토에 가장 잘 맞는 농사법을 정리한 책 '농사직설'을 펴냈습니다.

세금 제도 역시 혁신적으로 개혁했습니다. 이전까지는 풍년이 들든 흉년이 들든 똑같은 액수의 세금을 내야 해 농민들의 부담이 컸습니다. 세종은 무려 17만 명의 백성들에게 직접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에 따라 세금을 다르게 내는 합리적인 세법 '공법'을 시행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출산휴가?

세계 최초의 출산휴가?세계 최초의 출산휴가?

 

세종대왕의 업적 중 가장 놀랍고 현대적인 것을 꼽으라면, 단연 '노비 출산휴가' 제도일 것입니다. 당시 가장 천한 신분이었던 여성 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산후 7일 만에 다시 일을 해야 하는 비참한 현실을 안타깝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아이를 낳기 전 한 달, 그리고 아이를 낳은 후 100일이라는 파격적인 출산휴가를 법으로 보장해 주었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 남편에게도 30일간의 육아휴직을 주어 아내의 산후조리를 돕게 했다는 점입니다. 600년 전 조선에서, 사회 가장 약한 계층의 여성을 위해 세계사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선진적인 복지 제도를 시행했던 것입니다. 그의 애민정신이 얼마나 깊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

 

Q. 세종대왕은 왜 이렇게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나요?
A. 세종대왕은 엄청난 '공부벌레'이자 '노력가'였습니다. 왕이 되기 전부터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왕이 된 후에도 신하들과 밤늦도록 토론하며 나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했습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지식을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라는 단 하나의 목표를 위해 사용했기 때문에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Q. 이 모든 발명품을 세종대왕이 혼자 다 만들었나요?
A. 아닙니다. 세종대왕의 또 다른 위대함은 바로 '인재를 알아보는 능력'과 '그들을 믿고 지원하는 리더십'에 있었습니다. 장영실과 같은 기술자를 신분의 귀천 없이 등용했고, '집현전'이라는 학문 연구 기관을 만들어 수많은 학자와 함께 나라의 미래를 설계했습니다.

 

Q. 세종대왕도 단점이 있었나요?
A. 완벽해 보이는 세종대왕에게도 한 가지 큰 단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고기'를 너무나 사랑한 대식가였다는 점입니다. 운동을 싫어하고 고기 반찬 없이는 수라를 들지 않았다고 전해지며, 이로 인해 말년에는 당뇨병과 같은 여러 질병으로 고생했다고 합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한글 창제만이 아니다,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10가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