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상지 vs 모조지, 아직도 헷갈린다면? (완벽 구별법)

by 일금이 2025. 8. 14.
반응형

백상지 vs 모조지, 아직도 헷갈린다면? (완벽 구별법)

 

인쇄소에 보고서 출력을 맡기려는데, 혹은 공책이나 다이어리를 사려는데 "백상지로 하실래요, 모조지로 하실래요?" 라는 질문에 머릿속이 하얘진 경험, 없으신가요? 둘 다 하얀 종이인 건 알겠는데, 대체 뭐가 다른 건지 몰라 어물쩍 넘기셨을 겁니다.

결론부터 시원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백상지와 모조지는 사실상 '같은 종이'입니다. 마치 한 사람에게 '김철수'라는 본명과 '똘똘이'라는 별명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 글을 통해 왜 이름이 두 개가 되었는지, 그리고 이 종이의 진짜 정체는 무엇인지, 앞으로는 절대 헷갈리지 않도록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사실은 쌍둥이, 이름만 달라요

사실은 쌍둥이, 이름만 달라요사실은 쌍둥이, 이름만 달라요

 

우리가 헷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 이 두 용어가 사용되는 곳이 조금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조지(模造紙)'는 "외국에서 만든 고급 종이를 모방하여 만든 종이"라는 뜻으로, 제지 업계나 인쇄소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용어에 가깝습니다.

반면, '백상지(白上紙)'는 "희고 품질이 좋은 종이"라는 뜻으로, 소비자들이 더 이해하기 쉽게 부르면서 굳어진 이름입니다. 동네 문구점이나 작은 인쇄소에서 더 흔하게 들을 수 있죠. 따라서 인쇄소 사장님께 "백상지요"라고 하든 "모조지요"라고 하든, 결과적으로는 같은 종이를 받아보게 될 것이니 이제부터는 자신 있게 말씀하셔도 괜찮습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A4용지가 바로 그것!

우리가 매일 쓰는 A4용지가 바로 그것!우리가 매일 쓰는 A4용지가 바로 그것!

 

이 종이의 정체를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지금 당장 당신의 프린터에 들어있는 'A4 복사용지'를 떠올리는 것입니다. 바로 그 종이가 백상지이자 모조지입니다. 표면에 광택이 없고, 펜으로 글씨를 써도 번지지 않으며, 어떤 내용이든 선명하게 인쇄되는 가장 기본적인 종이입니다.

우리가 학창 시절에 사용했던 노트, 업무용으로 쓰는 서류, 책의 내지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종이가 바로 이 백상지/모조지 계열입니다. 이처럼 이 종이는 우리 일상에 가장 깊숙이 들어와 있는, 가장 친숙하고 기본적인 '기본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상지와 모조지, 언제 사용할까?

백상지와 모조지, 언제 사용할까?백상지와 모조지, 언제 사용할까?

 

백상지/모조지는 그야말로 '만능 종이'입니다. 표면에 특별한 코팅 처리가 되어있지 않아 잉크 흡수성이 좋고,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아 글을 읽거나 필기하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보고서나 논문, 책의 내지, 각종 서식, 안내문, 노트, 스케치북 등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합니다.

반대로, 사진이나 화려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는 다른 종이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잡지처럼 표면이 반짝이는 '아트지'나, 광택은 없지만 색상 표현이 뛰어난 '스노우지'는 표면에 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 사진 인쇄에 더 적합합니다. 용도에 맞는 종이를 선택하는 것이 결과물의 품질을 높이는 첫걸음입니다.

 

두께(평량) 선택, 이것만 기억하세요

두께(평량) 선택, 이것만 기억하세요두께(평량) 선택, 이것만 기억하세요

 

같은 백상지/모조지라도 '두께'에 따라 그 느낌과 용도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종이의 두께는 '평량(g/m²)'이라는 단위로 표시하는데, 가로 1m, 세로 1m 크기 종이 한 장의 무게를 의미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더 두껍고 빳빳한 종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보통 사무실에서 쓰는 A4용지는 75~80g, 약간의 두께감이 필요한 보고서나 인쇄물은 100~120g을 주로 사용합니다. 팜플렛이나 가벼운 책 표지로는 150~180g, 엽서나 명함처럼 빳빳함이 필요할 때는 220g 이상의 두꺼운 평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색 모조지, 눈이 편안한 선택

 

백상지/모조지는 우리가 아는 새하얀 색상 외에, 약간의 아이보리 빛이 도는 '미색 모조지'도 있습니다. 이는 눈부심을 줄여주어 장시간 글을 읽을 때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아주 고마운 종이입니다.

소설책이나 시집처럼 오랫동안 편안하게 읽어야 하는 책의 내지로 주로 사용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만약 당신이 직접 책을 만들거나, 눈이 편안한 노트를 찾고 있다면, 새하얀 백상지 대신 따뜻한 느낌의 '미색 모조지'를 선택해 보세요. 훨씬 더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백상지/모조지랑 아트지는 뭐가 다른 건가요?
A. 가장 큰 차이는 '코팅 유무'입니다. 백상지/모조지는 코팅이 없어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광택이 없는 반면, 아트지는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 처리하여 광택이 나고 사진 인쇄에 적합합니다. 쉽게 말해, 책 내지는 백상지/모조지, 잡지 내지는 아트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Q. 가정용 프린터로 인쇄해도 괜찮은가요?
A. 네, 그럼요. 백상지/모조지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잉크젯, 레이저 프린터 모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인쇄용지입니다.

 

Q. 종이에도 결이 있나요?
A. 네, 있습니다. 종이를 만들 때 섬유질이 배열되는 방향에 따라 '종이결'이 생깁니다. 책을 만들거나 접는 작업을 할 때는 이 종이결 방향에 맞춰 작업해야 훨씬 더 깔끔하고 튼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1. 종이의 종류 | 강원대학교 종이소재과학전공
    백상지는 모조지의 종류로 인쇄 적성이 좋아 책자 본문, 광고지 등에 널리 쓰이며 백색과 미색 모조지의 차이도 상세히 소개합니다.
  2. 종이 재질 자주묻는 질문 - 신성쇼핑백
    백상지(모조지) 쇼핑백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종이의 두께와 강도, 표면 질감에 대해 쉽게 이해할 있도록 설명합니다.
  3. 종이 타입 특징 - Ejddl33 티스토리
    백상지와 모조지의 명칭 차이, 표면 처리 여부, 색상, 용도 차이 등을 실물 감촉과 인쇄 품질 차이와 함께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4. 인쇄 인쇄용지 고르는 꿀팁! - 박스메이커스
    모조지와 백상지의 동일 개념과 용도, 미색과 백색 차이, 인쇄 적합성에 대해 쉽게 요약하여 알려줍니다.
  5. 인쇄용지(1) - 모조지와 플러스지 - 아이온북스 티스토리
    책자 내지용 모조지(백상지) 중량별 특징과 백색, 미색의 구분 선택 팁을 다루는 입문 설명입니다.
반응형